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완전성 (Data Integrity)

동아ST DI 강연 summary (킨텍스 세미나)

by doing_right 2024. 5. 8.

동아 ST (송도) QA 팀장님 강연 내용 summary 공유 합니다. 

 

동아ST DI 강연 summary

 

 


 

1. 품질 경영을 위한 IT 시스템과 데이터 백업 관리


1-1. 품질경영의 중요성과 디아이 구축 사례

- 품질경영을 위해 IT 시스템 구축은 중요함
동아 에스티의 MES, LIMS 등 다양한 IT 시스템 활용 사례 소개

- (중요) DI 구축 시 가장 어려운 것은 각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 구성임


1-2. 림스 활용의 효과 및 Audit trail 관리 방식


림스를 통해 제품 출하 전 DI가 체인지, 컨트롤, 검토 등을 확인함

림스 사용에 따른 안전성 및 원본 관리의 효과를 언급함

- (중요) Audit trail  (출하 대상) 리뷰를 통해 DI 준수를 확인함

- Audit trail  리뷰는 DI 전담 인원이 참여하며, 제조 설비와 팀 별로 다르게 진행함


1-3. 데이터 백업 관리 방법


- DI 담당자들이 매 로트마다 USB에 대한 인벤토리 관리를 진행함

백업된 USB는 DI 담당자가 관리하며, 백업 내용은 꼭 삭제함

- (중요) USB는 저장 매체가 아니며, 데이터 보관에 취약함

공장에서 나돌아다니는 USB에 대한 관리를 통해 데이터 백업을 강화함


2. 데이터 관리와 백업 시스템 운영


2-1.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


- Data Integrity 규정에 따라 데이터 관리가 필요함

복구 서버의 중요성 강조, 복구가 어려울 경우 심각한 문제 발생 가능성 있음

마이크로소프트의 VH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화로 데이터 저장 및 관리 가능

- (중요) 특정 외국 장비들은 라이센스 문제로 완전 복구 검증이 어려운 점이 있음


2-2. 백업 시스템 구축 및 동작 원리


중앙 백업 시스템을 두고 모든 Stand alone 장비들이 서버를 향하고 있음

네트워크만 설치하면 모든 데이터가 일에 한 번씩 백업됨

- (중요) 아크로니스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앙 백업 서버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음

2차 백업본은 다시 ITC 평촌 별도의 센터로 매일, 한 달에 한 번 주기로 이루어짐


2-3. 시간 동기화 및 True copy (진사본) 관리


시간 동기화는 한 달에 한 번 진행, 장비 시간이 틀어질 경우 복구 후 리스크 평가 진행

- DI 담당자는 특정 장비의 시간을 맞추고 동기화를 진행

- True copy 는 출하 제품에 대한 원료 시험 기록서, 제품 시험 기록서, 제조 기록서 등을 포함

- (중요) 스캐너 작업 시, 회사 서버의 공용 폴더에 권한을 지정하여 규정에 따라 작업 진행

식약처에 제출하는 문서들도 PDF로 스캐닝 관리 중임


3. 제조기록 관리와 DI의 중요성


3-1. 제조기록 관리 시스템 도입의 중요성


제조기록을 관리하는 로그북 시스템이 도입되었음

- (중요) 제조팀에 대한 실사를 담당하며, 문서 보관소를 통한 관리가 이뤄짐

GMP 문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도서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함

이러한 시스템은 Finding 기능을 통해 문서의 반출, 대출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함


3-2. 제조 기록 관리 시스템의 확장 및 이용


제조 기록 관리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제조 기록 파라미터 확인이 가능함

- (중요) 시스템 이용을 통해 작업자의 행위에 대한 기록이 이루어져 문제점을 파악하고 사고를 예방함

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력 절감에 기여하며, 효율성을 높임

레시피 단계별로 사인을 필요로 함


3-3. DI 규정 준수의 중요성


식약처에서의 DI 규정 준수를 위해,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관리에 신경을 씀

- (중요) 시험자의 실수가 반복되는 경우, 제조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실험 반복을 실시하는 작업자에게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함

허가를 받기 위한 데이터는 모두 정확해야 하며, 이를 위해 엄격한 검토와 관리가 이루어짐


4. DI와 품질경영 시스템


4-1. DI 체크리스트의 중요성


- DI 체크리스트에는 경영진의 서명이 필요하며, 대표이사의 서명이 필수적임

- (중요) SOP 번호와 해당 항목의 번호 및 내용을 체크리스트에 명시하여 확인 절차를 포함함

체크리스트 내용이 없을 경우, 그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함

체크리스트는 계속 업데이트하며 사용하도록 함


4-2. DI의 컬쳐와 슬로건 만들기


- DI의 컬쳐 및 슬로건은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위한 기반이 됨

- (중요) 신입사원 교육에서 DI의 컬쳐 및 슬로건을 교육하는 것이 필수임

- DI의 절차를 매뉴얼로 정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관리함

각 직무별로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함


4-3. DI 관리를 위한 인적자원의 역할


- (중요) DI 관리를 위해 회사 전담 인원이 필요하며, 해당 인원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리더적 역할을 해야 함

- DI 위반 시 즉각 해고라는 내용도 중요한 관리 요소임

직원들이 회사의 DI 정책을 이해하고, 잘 실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함

회사 전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DI를 적극 활용하도록 교육함

분기별로 클레임 및 실사 등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공유하고, 개선함


5. 제조 및 QC 교육 관리 프로세스

 

5-1. QC 시스템의 중요성 및 사용자 관리


업무분장표에 따른 QC 시험 매트릭스 교육 매트릭스를 통해 QC 직무 수행을 확인

- (중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운영 경각심 필요함

실사자 계정 사용지침 등 실사 대비를 위한 강화조치 필요성 인식

- (중요) 제조 쪽에서 흔히 발생하는 Re-work, Re-process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절차 개선 필요

문제 발생 시 제조 정지 등 행정처분이 나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대비책 필요


5-2. QC 및 제조 프로세스의 QBD, CPP, CCP 와 CP


프로덕션 개발 단계에서 CQA와 CMA를 QBD 통해 설정하고 CPP로 관리

- QC 와 제조 Re-work, Re-proces 문제 발생 시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할지 미리 분석 필요

- (중요) DI 담당자 및 QC 중간 검토자, QA 담당자, DI 파트 등 여러 직군의 역할이 중요

- (중요) 연구소에서 안 한 DI 자료를 공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제조  Re-work, Re-proces 문제 발생 유발

모든 과정에서 꼼꼼히 흐름을 정의하고 확인하며 문제점을 파악 및 해결


5-3. CPP 컨트롤 및 데이터 플로우 분석


데이터 플로우를 통해 문제점을 식별하고, 이를 CPP에 기입하여 관리

- (중요) Risk assessment 를 통해 CPP 컨트롤 여부 확인 및 테스트 실시

데이터 중요성에 따른 분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다른 관리 방법 적용

데이터 중요성 판단 기준 중 하나로, 중요한 GMP 데이터와 그렇지 않은 데이터를 구분

- (중요) 기록 관리에 있어서 ERP 원료 측량은 중요하지만, 이 외 원료 재고관리 등은 그렇지 않은 예시가 있음


6. 세포 생산 공정의 효율적 관리와 평가

 

6-1. 세포 생산 공정의 중요성과 디오 용존 산소에 대한 관찰


세포 생산 공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DO 용존 산소의 측정이 필요함을 설명함

수동으로 측정했을 때의 오류 가능성과 이에 따른 데이터 평가의 미디엄 수준을 설명

- (중요) 알람 체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CPP와 설비 중요도 리스트의 관리 방법 설명

6-2. 리액터 자동화와 데이터 관리에 대한 평가

- (중요) PH 센서와 펌프를 통한 오토매틱 PH 조절이 공정의 컨트롤을 향상시킴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시간 데이터 관리를 통한 통계 분석의 가능성을 설명

체리 피킹을 통한 데이터 선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노트 관리의 필요성을 설명


6-3. 실제 데이터 관리 및 디지스터 리코버리에 대한 이해


실제로 회사에서 사용하는 로그북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각 팀의 역할을 설명함

- 비즈니스 연속성에 대한 설명을 통해 BCP의 중요성을 강조함

- 비즈니스 연속성 테스트 플랜의 작성과 실행에 대한 설명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기업의 데이터 라이프 사이클을 이해할 수 있음


7. 제조 관리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 (cGMP, QMS, GAMP)


7-1. 제조 업무 처리 대체 방안 및 평가 시스템 설명


공장의 업무가 잠정 중단될 경우의 대안 설명

- QC 에서 림스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설명함

- (중요) 대체 방안이 제조기록서 수기 발행이 안될 경우 수기로 체크하는 절차 설명

- WMS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시 수동으로 재고관리를 하는 방법 설명

자율 점검 후 경영진까지 보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


7-2. DI 점검과 데이터 관리


- DI 점검 시, 모든 정보를 제공해야 함

자율 점검 후 결과를 경영진에게 보고해야 함

- DI 점검 결과를 외부 컨설팅 업체를 통해 진행하는 것도 가능함

- (중요) DI 점검 결과는 회사에서 모르는 사람을 통해 관리되며, 이에 대한 정확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함


7-3. 데이터 관리의 핵심 가이드라인


- FDA가 QMM으로 데이터 관리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함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레벨은 잘 구성되어 있어야 하며, 그 기준은 점수로 평가됨

데이터 관리에 관한 모든 정보가 명확하게 적립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품질 경형 성숙도 (QMM)의 평가 방법에 대한 가이드가 존재함

반응형

댓글